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이 새롭게 주목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010 통합번호 정책을 강행하며, 010을 누르지 않고 전화 발신이 가능한 장점을 내세웠었습니다. 특히, 소비자의 반발이 극에 달했을 때, 효율적인 전화번호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세웠는데요. 사실 저도 010 통합번호 정책에 대해서 불만을 갖고 있던 터라 정부가 강행했던 정책에 대해서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최신 단말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010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금도 010 통합번호에 대해 거부감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바로 이 부분 때문에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이 새롭게 주목 받게 된 것 같습니다.

 

이슈가 되는 부분을 좀 더 세심하게 살펴보면,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010 통합번호 제도는 국가자원인 번호의 효율적인 이용과 브랜드 방지화를 위해 도입한 정책입니다. 휴대폰 번호가 010으로 모두 통합되면 일반 전화와 같이 010을 누르지 않고 전화번호만 누르면 됩니다. , 010 가입자끼리만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식별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의성이 높아졌다는 부분은 눈에 띄네요. 그런데 이 부분이 7년이 지난 지금에서야 새롭게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난 주말 010을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사용자끼리 010을 누를 필요가 없다는 기사가 이슈가 됐습니다. 이슈가 된 이유는 상당수 많은 사용자들이 이 부분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했던 것을 꼽을 수가 있었는데요. 모르고 있던 이들 중에는 IT얼리어답터들도 상당 수 있었습니다. 물론 휴대폰 업계에서 종사하고 있는 제 동생까지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이 정도면, 꽤 심각한 커뮤니케이션의 문제가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물론, ‘010 통합번호 제도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주의 깊게 보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제 실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상당수 많은 사람들이 몰랐고, 그것을 커뮤니티를 통해 알게 되면서 기사화됐다는 것은 좀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하면서 기존의 01X를 사용하던 사용자들에게 아직도 2G에서 3G로 넘어갈 수 있도록 혜택을 부여하지 않고 010 통합에 동의해야지만 01X 3년간 한시적으로 사용한 이후에는 010을 이용해야 한다는 편법을 제시하는 방통위의 행보는 소통과는 거리가 먼 것 같습니다. ‘010 통합번호 제도도 좋은 정책이지만 소비자의 의견은 전혀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010 통합번호 제도도 좋지만 편법과 같은 방법을 동원해 사용자의 양해를 구하기 보다 사용자가 010 통합번호를 선택할 수 있게 끔 제도를 좀 더 정비하면서 혜택을 부여하면 좀 더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물론, 이에 대한 대대적인 홍보는 필수겠지만…..

 

어쨌든 새롭게 안 사실이지만 휴대폰 식별 번호가 필요 없는 010’는 좀 더 유용하게 사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