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월 27일에 출시한 스마트폰 갤럭시A의 후속제품이 등장했다. 그 이름은 바로 갤럭시 네오(GALAXY Neo, SHW-M220L). LG U+를 통해 국내 출시한 갤럭시 네오는 보급형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략형 스마트폰이다. 즉, ‘합리적인 가격을 갖춘 스마트폰’이라는 것인데, 이와 비슷한 스펙을 갖춘 보급형 스마트폰과 무엇이 다를까?
우선 삼성전자가 내세운 ‘갤럭시 네오’를 살펴보자. 안드로이드 2.2(프로요)와 800MHz 프로세서를 채용해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 지원하는 멀티태스킹과 부족함이 없는 안드로이드 환경을 제공한다. 또,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돋보이는 3.5형 WVGA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타사의 보급형 스마트폰과 달리 전면 카메라를 탑재, 영상통화와 셀프카메라 기능을 지원해 차별화를 꾀했다.
300만 화소 카메라, 지상파 DMB, 블루투스 3.0, 최대 32GB 대용량 외장 메모리 슬롯, 1500mAh 배터리 등 다양한 편의기능을 갖춘 점도 눈에 띈다. 여기에 DivX 인증을 받아 별도의 변환작업 없이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고 3G 무선 인터넷 접속을 보조할 수 있는 Wi-Fi(802.11 b/g/n) 접속 환경도 제공한다.
갤럭시 네오가 LGU+로 출시되기 때문에 삼성전자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삼성앱스(스마트폰 제조사)’, 구글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안드로이드 마켓(스마트폰 운영체제)’, LGU+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오즈스토어(이동통신사)’ 등 3사의 다양한 앱스토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갤럭시 네오’는 깔끔하고 모던한 느낌의 유선형 디자인을 통해 그립감을 향상시켰으며, 시크 화이트와 노블 블랙 2가지 컬러로 LGU+를 통해 출시된다.
갤럭시 네오(LGU+) vs 갤럭시 에이스(SK텔레콤) vs 갤럭시A(SK텔레콤) 스펙 비교
이름 |
갤럭시 네오(Neo) |
갤럭시 에이스(Ace) |
갤럭시A |
통신사 |
LGU+ |
SK텔레콤 |
SK텔레콤 |
기본형태 |
Full Touch Bar | ||
디스플레이 |
3.5인치 65K Color TFT LCD |
3.5인치 65K Color TFT LCD |
3.7인치 AMOLED Plus |
LCD해상도 |
WVGA(800x480) |
HVGA(320x480) |
WVGA(800x480) |
운영체제(OS) |
안드로이드 프로요(2.2) (기본 내장) |
안드로이드 프로요(2.2) (업그레이드로 가능함) | |
카메라 |
전면30만화소(영상통화) 후면300만화소 |
전면 카메라 없음 후면 500만 화소 |
전면30만화소(영상통화) 후면 500만 화소 |
LED 플래시 |
없음 |
있음 | |
CPU |
800MHz(MSM7227) |
800MHz(MSM7227) |
720MHz(OMAP3440) (800MHz를 다운클럭) |
RAM |
512MB, 사용자 메모리 약 158MB |
512MB, 사용자 메모리 약 150MB |
384MB 1GB ROM |
외장메모리 |
Micro SDHC 32GB |
Micro SDHC 32GB |
Micro SDHC 32GB |
GPS |
지원 | ||
블루투스 |
지원 | ||
Wi-Fi |
802.11 b/g/n | ||
지상파 DMB |
지원 | ||
배터리 |
1500mAh 연속통화 : 약 390분 연속대기 : 약 310시간 |
1500mAh 연속통화 : 약 390분 연속대기 : 약 460시간 |
1500mAh 연속통화 : 약 450분 연속대기 : 약 450시간 |
크기 |
115.9x56.9x12.14mm |
112.4x59.9x11.5mm |
119.5x59.8x12.5mm |
무게 |
121.8g |
114g |
128g |
색상 |
Black &White |
ONYX Black, Ceramic White |
Deep Black |
판매 |
버스폰 |
버스폰 |
버스폰 |
CPU 프로세서를 비롯해 전체적인 스펙사양이 비슷하지만 일부 스펙에선 제품 차별화를 위해 차등 적용한 부분이 눈에 띈다.
먼저 디스플레이 부분에서는 갤럭시A가 갤럭시 네오, 갤럭시 에이스보다 우세를 보인다. 갤럭시A는 3.7인치인 AMOLED Plus를 사용하고 있어 해상도와 크기에서 다른 두 제품보다 우위에 있다.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갤럭시 에이스(320x480)와 갤럭시 네오(800x480)만 비교하면 해상도면에서 갤럭시 네오가 앞선다. 갤럭시 에이스의 해상도가 낮은 이유는 피처폰을 사용하던 사용자들에게 큰화면을 보여주기 위한 포석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웹 서핑을 할 때 갤럭시 네오보다 불편하다.
카메라 부분에서는 갤럭시 네오가 갤럭시A, 갤럭시 에이스보다 우위를 점치기 어렵다. 30만 화소의 전면카메라를 탑재한 갤럭시 네오와 갤럭시A가 갤럭시 에이스보다 우위에 있다. 또한 LED 플래시를 지원하는 갤럭시A와 갤럭시 에이스는 (LED 플래시를 지원하지 않는) 갤럭시 네오보다 편의기능에서 한발 앞선다. 그러나 갤럭시 네오, 갤럭시A가 영상통화가 가능한 30만화소의 전면카메라를 채용해 다른 두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소 우위에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배터리부분에서는 세 제품 모두 1500mAh로 동일한 배터리 용량을 갖고 있지만 갤럭시A가 단연 앞선 성능을 제공한다. 연속통화시간이 약 450분에 달하는 갤럭시A는 연속통화시간이 약 390분에 달하는 갤럭시 에이스, 갤럭시 네오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배터리 사용시간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갤럭시A의 매력은 여기서 빛을 발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갤럭시 에이스와 갤럭시 네오의 배터리 크기가 동일한데 반해연속 대기시간이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을 구매하려는 사용자에게는 유의깊게 봐야 할 항목이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의 크기와 무게는 갤럭시 에이스>갤럭시 네오>갤럭시A순으로 우위를 보였다.
갤럭시 네오를 바라보며 떠오른 첫 느낌은?
갤럭시 네오를 처음 접하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걱정’이였다. 프로세서의 스펙이 비슷해서 일까?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춘 갤럭시 네오를 보면 버스폰(일정 기간의 약정기간을 통해 기기값이 공짜인 폰을 지칭함)으로 풀린 갤럭시A가 생각이 났다. 갤럭시A는 갤럭시S가 출시되기 전까지 주목받던 스마트폰으로 갤럭시S 출시와 함께 최고의 위치에서 나락으로 추락했다. 이 당시 갤럭시A에 채택된 800MHz의 프로세서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고, 삼성전자는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720MHz로 다운클럭 되었다’고 밝혀 소비자들의 원성이 더욱 커지는 가운데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고 비운의 스마트폰이라는 평가가 이어졌다.
문제는 ‘갤럭시 네오(SK텔레콤향 갤럭시 에이스 포함)도 이 같은 프로세서와 관련된 홍역을 치루게 되지 않을까 염려스럽다’는 점이다. 별 것 아닌 것일 수도 있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선 800MHz로 동작할지 720MHz로 동작할지 명확하게 밝혀주는 것이 불필요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제를 제외한다면, 갤럭시 네오는 스마트폰 대중화 시대에 발맞춰 적절한 기능과 휴대성을 담아 저렴한 가격에 출시한 제품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삼성제품이기 때문에 타사에 비해 비싸게 책정된 감은 있다. 그러나 삼성 스마트폰 제품군 내에서는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인다.
마지막으로 갤럭시 네오, 갤럭시 에이스, 갤럭시A를 구매하려는 사용자층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 그것은 최근 듀얼코어 프로세서를 채택한 스마트폰이 쏟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800MHz 프로세서의 성능이 부족하다는 것이 아니다. 단, 빠른 앱 실행과 인터넷 접속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스마트폰을 따라잡을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해달라는 것이다.
CPU의 클럭 성능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보급형 제품에 모든 것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갖는 것은 경계 해야한다. 보급형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나서 스마트폰의 실행속도가 늦는다고 이의나 불만을 제기하는 것은 이코노미(Economy) 클래스를 이용하는 고객이 일등석(First) 클래스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과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보급형은 많은 사람들이 쉽게 구매하고 탑재된 기능을 스마트폰일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 7월 상용화 앞둔 초고속 4세대(4G) LTE 누가 유리한가? (0) | 2011.04.20 |
---|---|
아이폰5를 의식한 갤럭시S2, 4월말 출시가 의미하는 것 (0) | 2011.04.19 |
국산 스마트패드 웹머신즈 UX100 39만9천원 판매 개시 (0) | 2011.04.18 |
소비자에게 생색내는 휴대폰 유통구조 개혁 (1) | 2011.04.14 |
NEC 방수 스마트폰의 두께가 7.7mm라고? (0) | 2011.04.13 |
지긋지긋한 옴니아2! 그 해결 방법은 없나? (0) | 2011.04.12 |
갤럭시S2 CPU 1.2GHz 업글 대신 발매는 연기된다? (0) | 2011.04.07 |
블랙베리 태블릿 플레이북 4월 14일 출시 (0) | 2011.04.07 |
이번에는 황금 아이패드다! (0) | 2011.04.07 |
HTC 피라미드(센세이션) 영국을 통해 12일 발표! (0) | 2011.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