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세는 스마트폰이다. 스마트폰의 활성화로 스마트폰에서 즐길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시장도 활기를 띠고 있다. 그 중 IT매체와 블로거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애플리케이션은 무엇일까? 가장 눈에 띄는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서비스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에 대해서 회의적이였던 카카오톡이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기능을 추가한다고 밝혀 IT매체와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이목을 모으고 있다.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아진 가장 큰 이유는 가입자간 무료통화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과 저렴한 통화요금을 갖고 있어서다. 그 이면에는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시장 진입 장벽이 낮고, 부분유료화가 가능해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는 점도 한몫하고 있다. 다만, 현재 이동통신사가 구축한 3G 데이터망에서의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이용할 경우 통화품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지만 무료통화가 지닌 장점을 깍아내리기엔 부족해 보인다.
현재 스마트폰용으로 출시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애플리케이션은 10여종이 넘는다. 기존의 070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비롯해 스카이프(Skype), 수다폰(Suda), 프링(Fring), 바이버(Viber), 탱고(Tango), 올리브폰, 휘슬폰(Whistle) 등이 있고,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로 선보인 LG U+070, 포털사이트 다음이 선보인 Daum 마이피플, 그리고 최근 카카오톡이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혀 모바일 인터넷 전화 시장이 치열해지고 있다.
그래서 현재 출시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비교해봤다.
현재 출시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중 기존의 070 인터넷 전화기와 보편화된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들을 한자리에 모아봤다.
이번에 비교할 애플리케이션들은 스카이프(Skype), LG U+070, 수다폰(Suda), 프링(Fring), 님버즈(Nimbuzz), 바이버(Viver), Daum 마이피플, 탱고(Tango) 등을 비교해봤다.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애플리케이션들은 무선 인터넷 기반으로 제작되어 와이파이(Wi-Fi)가 잡히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있다.
오직 LG U+070만 유일하게 와이파이(Wi-Fi)만 지원했다. 스카이프(Skype), 수다폰(Suda), 프링(Fring), 님버즈(Nimbuzz), 바이버(Viver), Daum 마이피플, 탱고(Tango) 등은 3G 데이터망과 와이파이(Wi-Fi)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지원한다. 아직 출시되지 않은 카카오톡도 3G망과 와이파이(Wi-Fi)망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서 LG U+070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대부분이지만 차별화를 꾀하는 모바일 인터넷전화(m-VoIP)가 있다. 바로 스카이프(Skype)와 프링(Fring)이다. 음성통화 이외에도 영상통화를 지원한다. 3G망을 이용할 경우 원활한 통화가 어렵지만 와이파이(Wi-Fi)망에서는 좋은 품질의 통화를 이용할 수 있다.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을 지원하며, 스카이프(Skype)와 프링(Fring)은 심비안폰을 지원한다. 님버즈(Nimbuzz)는 윈도우모바일폰을 지원하고, LG U+070은 LG전자에서 출시하는 일부 단말기(와이파이 피처폰)에 기본 내장되어 있다.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사용하는 가입자간 통화는 무료로 제공되며, 스카이프(Skype), LG U+070, 수다폰(Suda), 프링(Fring), 님버즈(Nimbuzz)는 부분 유료화를 통해 유선 및 휴대폰 통화를 지원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사용하면 유동인구가 많이 몰려 있는 지역, 3G의 상태와 같이 통신환경에 따라 통화품질에서 차이가 났다. 통산환경이 원활한 와이파이(Wi-Fi) 환경에서는 스카이프(Skype), LG U+070, 바이버(Viver), Daum 마이피플, 수다폰(Suda), 프링(Fring), 탱고(Tango), 님버즈(Nimbuzz) 등의 순서로 통화품질이 우수했다.
3G 환경에서는 스카이프(Skype), 바이버(Viver), 프링(Fring), 수다폰(Suda), Daum 마이피플, 탱고(Tango), 님버즈(Nimbuzz) 등의 순서로 통화품질이 우수했다. 3G통신환경을 지원하지 않는 LG U+070은 아쉽게도 테스트 해보질 못했다.
편의기능을 살펴보면, 스카이프(Skype), Daum 마이피플, 수다폰(Suda), LG U+070, 바이버(Viver), 프링(Fring), 님버즈(Nimbuzz), 탱고(Tango) 순으로 한글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돋보였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LG U+070이 한글을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LG U+070이 일부 단말기 밖에 지원을 못하고, 멀티태스킹을 지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점은 하루 빨리 수정되어야 한다. (LG U+는 홈페이지를 통해 멀티태스킹을 곧 지원할 것이라고 밝혀 빠른 시일내로 업데이트 되기를 기대해본다.)
지금까지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에 대해서 잠깐 살펴봤다.
가장 무난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애플리케이션은 스카이프(Skype), 바이버(Viver), 프링(Fring), 수다폰(Suda)으로 꼽혔고, 좀 더 발전해야 할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애플리케이션은 LG U+070, Daum 마이피플, 탱고(Tango), 님버즈(Nimbuzz)였다.
가장 아쉬움을 남겼던 애플리케이션은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로 출시한 LG U+070이였다. 최근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가 3G와 와이파이(Wi-Fi)를 동시지원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루 빨리 3G망과 멀티태스킹 지원을 서둘렀으면 좋겠다.
앞으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시장이 점차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되는데, 좀 더 다른 서비스가 접목되어 새로운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 서비스가 등장하길 기대해본다. 개인적으로 모바일 광고서비스가 접목되어 유선 및 휴대폰 통화도 좀 더 저렴해지거나 광고주가 부담하는 형태의 서비스가 출현하길 고대하고 있다.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 아이패드2 공개된 사진은 이렇다? (0) | 2011.03.02 |
---|---|
삼성 8.9인치 갤럭시탭 3월 22일 공개된다? (0) | 2011.03.02 |
HSPA+ 국내최초 지원 팬택 스카이 베가S 출시 (1) | 2011.02.28 |
삼성 갤럭시 에이스 60만원대로 출시! 과연 성능은? (0) | 2011.02.28 |
99유로 최저가 태블릿 아코스 'Arnova' 출시 (0) | 2011.02.28 |
도코모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폰 MEDIS N-04C 출시 (0) | 2011.02.25 |
삼성 태블릿 슬라이딩 PC7 시리즈 4월 중 출시한다! (0) | 2011.02.25 |
디자인도 어썸! 가격도 어썸! 삼성 센스 9 출시 (2) | 2011.02.24 |
LG 옵티머스 패드 3월 일본에서 예약판매 실시 (0) | 2011.02.24 |
SKT도 아이폰4를? 다음달 SKT로 아이폰을 사용할 수 있다 (0) | 2011.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