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시회/MWC2011

[MWC2011] 삼성 태블릿 갤럭시탭 후속모델(?) 현장 리뷰

사용자 삽입 이미지

[MWC2011] 삼성 태블릿 갤럭시탭 후속모델(?) 현장 리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고 있는 MWC2011을 통해 삼성의 태블릿이 공개되었다.

 

삼성은 10.1인치 디스플레이를 담은 태블릿 갤럭시탭 10.1을 공개했다. 기존 7인치 디스플레이를담은 갤럭시탭과 달리 10.1인치 WXGA 해상도 1280X800 TFT LCD를 담은 제품으로 갤럭시탭 후속모델이라기 보다는 갤럭시탭 라인업은 한 제품으로 보는 것이 맞을 듯 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는 전시장내 갤럭시탭 부스를 보면 갤럭시탭2가 아닌 갤럭시탭으로 표시된 것으로 보아 후속모델이 아닌 각기 다른 디스플레이과 스펙을 지닌 노트북을 보는 것과 같이 삼성 태블릿의 다양한 라인업 중 하나로 판단하면 될 듯 하다.

 

갤럭시탭 101.은 디스플레이의 변화뿐만 아니라 엔비디아 테그라2 듀얼코어 프로세서, 안드로이드 허니콤 운영체제를 담고 있으며 800만 화소 AF 후면 카메라와 200만 화소 전면카메라 등을 내장했다. PC를 보는 듯한 UI로 꾸며진 허니콤은 하드웨어 버튼을 모두 제외했으며 윈도우와 같이 좌측 하단에 돌아가기, 홈버튼, 멀티태스킹 버튼을 위치했다. (, 갤럭시탭은 정식적으로 허니콤 지원이 안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무게는 구글 레퍼런스 태블릿 3개 모델(모토로라 줌, LG전자 옵티머스 패드, 갤럭시탭 10.1) 중 가장 가벼운 무게로 심지어 8.9인치 옵티머스 패드 보다도 가벼운 무게를 보여준다. 이부분에 있어서는 갤럭시탭이 분명 칭찬을 받을 만 하다.

 

기존 7인치 갤럭시탭에 내장된 전화기능은 제외됐다. 대신 스카이프나 Qik 등을 통해 인터넷 전화, 영상통화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소 아쉬운 점은 삼성 자체 프로세서인 엑시노스가 아닌 일명 테구라라고 불리우는 테그라2를 담았다는 점이다. 이미 테그라2를 담은 일부 제품의 경우 동영상 재생에 있어 720P도 간신히 구동된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에서 과연 어느 정도 최적화를 이끌었는지 궁금해진다. 이미 출시된 7인치 갤럭시탭도 인코딩 없이 대다수의 영상을 재생했던 것을 봤을 때 테구라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삼성의 1세대 태블릿보다 못한 제품이 될 수도 있을 듯 하다. 

 

또한, MicroSD 슬롯이 제외되면서 아이패드와 같이 기본 내장메모리 이외에 확장은 불가능하다. 충분한 공간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외한 점은 상당히 아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제 구동을 시켜본 결과 아직 완성본이 아닌 제품으로 버그 및 수정해야 할 부분이 많이 눈에 띄기는 했지만 화면간 전환 속도와 프로그램 실행속도 등은 쾌적하면서 부드럽게 구동되었다. (동영상 기능은 리뷰한 모델에 촬영한 영상만 있을 뿐 고화질의 영상이 없어 재생해보지 못했다.)

 

허니콤은 기존 안드로이드 기반의 UI와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스마트폰과 분명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커진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메일이 UI가 변화했으며(아이패드의 메일방식과 유사하다.), 3D 기반의 구글맵 등은 향상된 성능과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수정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고로 아이패드 아이북스와 같이 구글에서도 전자책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 서비스가 허니콤 기반의 모든 태블릿에 내장되었다.

 

삼성이 공개한 갤럭시탭 10.1인치는 모토로라 줌과 동일한 사이즈에 무게를 더욱 줄였으며 주변 베젤의 두께를 줄였다. 이는 아이패드보다 100g 정도 가벼운 무게로 10.1인치이지만 충분히 이동성을 높일 수 있을 듯 하다.

 

앞서 언급했듯 현재 제품이 완성된 시제품이 아닌 제품으로 일부 갑자기 실행이 안되거나 멈춰버리는 경우가 있지만 최종 제품이 나왔을 경우 충분히 기대가 되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출시는 늦어도 2분기 이내는 출시할 예정이며 가격은 당연히갤럭시탭 7인치 모델보다 비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