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레퍼런스 폰 넥서스S 국내 출시될까?
삼성은 구글 레퍼런스폰 넥서스S를 출시했다. KT를 통해 구글 넥서스원이 출시된 만큼 넥서스 S도 곧 국내 시장에 출시될 것이다라는 추측이 흘러나왔다. 하지만 넥서스S가 정말 출시될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넥서스S 출시는 부정적이다. 일각에서는 SKT를 통해 현재 검토중이라는 소식도 흘러나오지만 넥서스S에 대해 조금만 들여다 보면 그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보여진다. (아이폰만 보더라도 SKT가 검토만 참 잘하는 업체이기도 하다.)
그 첫번째 이유는 넥서스S가 레퍼런스폰이기 때문이다. 모든 단말기에는 이동통신사화된 서비스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면 SKT 폰에 들어가는 T스토어나 T맵, 멜론등이 대표적이다. 커스톰화된 서비스를 출시 단말기에 담아냄으로써 통신사는 통화요금 이외의 수익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구글 넥서스S는 이러한 서비스를 포함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동통신사에게는 그닥 매력적이지 못한 제품이다. 따라서 굳이 이동통신사 입장에서는 넥서스S를 출시할 필요성이 없다.
LGU+는 통신방식에 의해 이미 물 건너 갔고 KT는 기존 넥서스원을 출시해서 재미를 보지 못했으며 SKT는 갤럭시S라는 녀석이 지금도 많은 판매를 이끌고 있는 상황에서 팀킬을 가져올 수 있는 넥서스S를 출시할 이유는 없다.
두번째 이유는 갤럭시S2다. 조만간 이동통신사의 서비스를 듬뿍 담아낼 수 있는 갤럭시S2가 한국시장에 출시될 것이기 때문이다. NFC와 진저브레드의 차이만 있을 뿐 갤럭시S와 거의 동일한 사양인 넥서스S가 듀얼프로세서 기반의 제품이 대거 쏟아져 나올 올해 굳이 넥서스S를 공들여 출시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점이다.
물론 SKT를 통해 출시 가능성도 있다. 안드로이드 왕국을 구축하고자 했던 SKT가 갤럭시S의 무한 사랑으로 HTC와 스카이의 시샘을 가져오게 되었고 결국 프리미엄급 안드로이드폰 베가 X나 디자이어 HD를 KT에 빼앗기게 되면서 프리미엄급 안드로이드폰 넥서스S를 SKT가 출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만은 없다.
냉정하게 봤을 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구글 안드로이드 버전 업그레이드의 혜택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다라는 점에서 넥서스S는 무척 매력적인 기기임이 분명하다. 제조업체의 업그레이드를 마냥 기다려야 하는 안드로이드의 치명적인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해주는 만큼 국내 시장 출시를 기다리는 유저는 많다. 더구나 국내 기업인 삼성이 만든 제품이기에 넥서스원과는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소비자 입장에서 넥서스S를 출시해주었음 한다. 통신사의 욕심을 조금만 버리면 언젠가는 그 이상의 보답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한다.
'휴대폰/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을 대거 출시한다. (1) | 2011.01.14 |
---|---|
MP3 갤럭시 플레이어가 성공할 수 있는 이유는? (0) | 2011.01.13 |
MWC2011에서 갤럭시S의 후속제품 '센르(세느)' 공개 (1) | 2011.01.12 |
갤럭시탭을 외면한 안드로이드 OS 허니콤 (1) | 2011.01.04 |
갤럭시 플레이어의 가능성과 문제점은 무엇? (0) | 2011.01.04 |
갤럭시 시리즈 후속제품, M190S의 디자인 사전 유출 (1) | 2011.01.03 |
레노버 12.5인치 아이디어패드 U260 노트북 발표 (0) | 2011.01.03 |
LG전자 NTT DoCoMo에 옵티머스 패드를 출시한다. (1) | 2011.01.03 |
갤럭시 플레이어 아마존 예약판매 시작? (1) | 2011.01.03 |
갤럭시탭 가격인하 한국은 언제쯤? (1) | 2011.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