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약 안드로이드가 지난 7일 안드로이드 마켓에 등록되면서 'V3 모바일(V3 Mobile)'에 이어 모바일 백신 시장의 경쟁을 부추길 전망이다.
PC 백신 시장을 호령하고 있는 안철수 연구소의 V3와 이스트소프트의 알약, 그리고 네이버의 네이버 백신 등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네이버 백신은 자체 엔진이 아니고 타사의 엔진을 적용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직접 백신 엔진을 개발하고 있는 안철수 연구소와 이스트소프트를 양대산맥으로 손꼽고 있다.
그런PC 백신시장을 두고 치열하게 다투고 있던 안철수연구소와 이스트소프트간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아이폰이 출시되면서 스마트폰의 열기가 뜨겁게 달궈진 시장의 가능성을 본 두 기업이 스마트폰(안드로이드폰용) 백신 시장으로 진출하게 된 것. (이와 관련해 아이폰 백신 개발과 관련된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
백신업계의 선두주자인 안철수연구소와 이스트소프트가 안드로이드폰의 출시와 함께 모바일 백신 시장에 참여하면서 안드로이드 백신이 연이어 출시되고 있다. 바로 갤럭시S에 채용된 V3 모바일(V3 Mobile)과 최근 선보인 알약 안드로이드가 그 주인공.
처음 안드로이드 백신으로 출시된 안철수 연구소의 'V3 모바일(V3 Mobile)'은 갤럭시S에 기본 제공되면서 스마트폰의 대표주자로 손꼽히는 안드로이드폰 시장의 점유율을 착실하게 늘려가면서 우위를 점했다. 여기에 인터넷에 떠돌고 있는 설치파일(ahnlabv3mobile.apk)을 다운로드 받은 사용자들을 감안하면 사용자층은 더욱 늘어난다.
최근 출시한 이스트소프트의 알약 안드로이드는 후발주자인 만큼 검사속도에 초점을 맞춰 사용자들의 이목을 끌면서 V3와의 대결을 시작하고 있다.
1. V3 Mobile VS 알약 안드로이드 [UI]
백신의 성능도 중요하지만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 것들이 잘 어우러져야 좋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는 것도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V3 모바일(V3 Mobile)과 알약 안드로이드의 UI를 놓고 보면 개인적인 평가의 차이가 심하다.
심플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V3 모바일(V3 Mobile)가 우세하다'라는 평가와 다양한 기능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한 '알약 안드로이드'의 UI가 화려하다'로 사용자의 호불호가 갈린다. 개인적으로는 V3 모바일(V3 Mobile)이 심플함을 추구했지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가진 알약의 안드로이드에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알약 : ★★★★☆
V3 : ★★★☆☆
2. V3 Mobile VS 알약 안드로이드 [파일 검사 및 검출 능력]
UI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알약부터 바이러스 검사 완료 시간을 살펴보자. 보유하고 있는 LG유플러스의 갤럭시U를 가지고 테스트를 실시해봤다. 실행과 동시에 바이러스 검사가 이뤄지지 않고 검사할 파일이 로딩된 뒤에 검사를 시작한다. 총 6241개의 파일을 검사했으며, 파일검사가 완료되기까지 4분 10초가 걸렸다.
V3 모바일(V3 Mobile)은 어플 실행과 동시에 파일들을 검색하기 때문에 조금 빠르다는 느낌을 받는다. 총 11496개의 파일을 검사했으며, 타이머를 누르는 게 1초 정도 느렸지만 파일 검사가 완료되기까지 7분10초가 걸렸다.
결과만 놓고 본다면 4분 10초가 걸린 알약 안드로이드가 더 빠르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백신이 검색한 파일의 수가 적었다는 점과 V3모바일(V3 Mobile)이 6200여개 즈음 살펴본 타임의 시간이 4분 15여초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제품의 파일 검사 속도는 사실상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중요 파일만 검사하고 싶다면 알약 안드로이드를.... 전체 파일에 가까운 파일들을 검사하고 싶다면 V3모바일(V3 Mobile)을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단지, 다양한 바이러스의 DB를 갖고 있는 안철수 바이러스의 V3모바일(V3 Mobile)의 검출 능력이 좀 더 앞서 있다고 지적하고 싶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가 검출된 파일이 있을 경우 검사 속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알약 : ★★★★☆
V3 : ★★★★★
3. V3 Mobile VS 알약 안드로이드 [기능]
이번엔 파일 검사 및 검출 능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V3 Mobile을 살펴보자. V3 Mobile은 다른 부가기능보다 바이러스 검출에만 초점을 맞췄다. 따라서 바이러스 검사와 실시간 검사, 그리고 엔진 업데이트만 지원한다.
반면 알약 안드로이드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바이러스 검사, App관리(작업관리자 기능), 스팸관리, 업데이트, 환경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고, 사용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말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실시간 감시, 스팸 전화번호 감시, 스팸 키워드 감시 등을 실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 정도면, 글을 읽어본 독자들에게 설명하지 않더라도 알약 안드로이드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두 제품 모두 실시간 감시 기능을 켜놓았을때는 알약 안드로이드가 배터리가 배터리 소모율이 좀 더 높았다. 일부 사용자들은 이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기도 했다. 이 점은 개선되야 할 점으로 사용자들이 백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때 주요 분기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알약 : ★★★★★
V3 : ★★★☆☆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 안철수 연구소의 'V3 모바일(V3 Mobile)'는 백신 본연의 기능에 충실한 어플리케이션이고, 이스트소프트의 '알약 안드로이드'는 다양한 기능과 함께 백신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를 꾀한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어느 제품이 우수하다라고 추천하기 보다는 자신에게 어울리는 백신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설치해 보는 것을 권하고 싶다.
'디지털/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광고 서비스 시장 확대될까? (3) | 2010.12.28 |
---|---|
명작이 그려진 아이패드 파우치 출시 (0) | 2010.12.23 |
2010년 IT 모바일 5대 핫 이슈 (1) | 2010.12.22 |
2011년 국내 IT 시장 전망은? (0) | 2010.12.15 |
사상 최대 개인정보 유출! 보안 적색 경보 (1) | 2010.12.13 |
옵티머스원 진저브레드 업그레이드가 된다? (1) | 2010.12.08 |
모바일 통합 플랫폼으로 e북 시장을 노린 구글 (0) | 2010.12.08 |
소셜커머스 정보를 한 눈에 살펴보자! (1) | 2010.12.08 |
소니코리아, 친환경 데이터 프로젝터 VPL-E (0) | 2010.12.06 |
삼성전자 블루레이 플레이어, 세계 시장 호령 (0) | 2010.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