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모바일

하반기 보급형 스마트폰이 격돌한다! 성공할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반기 보급형 스마트폰이 격돌한다! 성공할까?

 

하반기 삼성전자를 제외한 LG전자, 모토로라, HTC, 소니에릭슨 등은 모두 동일한 카드를 들고 나왔다. 바로 보급형 스마트폰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를 전략폰으로 잡고 애플 아이폰 4와 함께 프리미엄급 스마트폰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스마트폰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일반 피쳐폰 시장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를 꼽으라고 한다면 요금제를 들 수 있다. 2~3만원 정도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요금제와 단말기 할부금을 포함 최저 5~6만원을 내야 하는 스마트폰에 선뜻 발을 들이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에 대해 제조사들은 제품의 성능과 가격 등 진입장벽을 낮춰 사실상 기기값의 경우 무료로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을 출시 하반기 스마트폰 보급을 목표로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 작년 말부터 시작된 스마트폰 시장의 돌풍은 스마트폰을 알리는 시기였다면 이번 하반기에 시작되는 보급형 스마트폰 시장은 말 그대로 더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를 이끄는 보급의 시기라 볼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달 4 LG전자가 가장 먼저 보급형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출고가 65만원대인 안드로이드폰 옵티머스원을 출시하여 보급형 스마트폰을 처음 출시하였고 팬택 역시 보급형 안드로이드폰 미라크를 통해 보급형 시장에 발을 내딛었다. 또한, HTC는 이미 디자이어 팝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토로라 역시 모토믹스라는 저가 스마트폰을 공개했다. 소니에릭슨 역시 50만원 대 엑스페리아 X10 미니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 제품들은 고가에 책정된 프리미엄급 스마트폰 구매를 부담스럽게 느낄 수 있었던 10대 학생층이나 요금제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을 부담스럽게 느끼는 음성 통화 위주의 사용자 등을 위한 폰이라고 보는 것이 좋을 듯 하다.

 

하지만 이러한 보급형 스마트폰이 과연 국내 자리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미지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이유로는 첫째 국내 소비자들이 스펙에 대해 상당히 민감하다는 부분과 함께 이미 갤럭시 S, 아이폰 4 등 프리미엄 급 스마트폰을 봐왔던 이들에게 보급형 스마트폰은 만족하기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미 엄청난 판매고를 이끈 갤럭시 S와 아이폰 4를 쉽게 찾아볼 수 있기에 보급형 스마트폰을 처음 봤을 때의 첫인상은 실제 가지고 있는 제품의 능력보다 낮게 평가될 수 있다.

 

단말기 출고가를 낮추는 것만으로 현 피쳐폰 이용자들을 이끌기는 약간 부족해 보인다. 결국 스마트폰을 더욱 보급하기 위해서는 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해 보급형 스마트폰에 맞는 요금제를 출시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 현재 있는 요금제를 조금 더 세분화하여 내놓는 것도 스마트폰 보급을 이끄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