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비스

[갤럭시 노트3 리뷰] 사용할수록 더욱 이용하게 되는 갤럭시 기어 [갤럭시 노트3 리뷰] 사용할수록 더욱 이용하게 되는 갤럭시 기어 이전 글에서는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갤럭시 기어로 스마트 라이프를 꿈꾸며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었는데요. 오늘은 갤럭시 기어를 좀 더 활용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해보려고 합니다. [갤럭시 노트3 리뷰] 향상된 디자인과 성능으로 돌아온 갤럭시 노트3 http://dtalker.tistory.com/3054 [갤럭시 노트3 리뷰]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S펜으로 갤럭시 노트3를 더욱 편리하게 http://dtalker.tistory.com/3056 [갤럭시 노트3 리뷰]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는 갤럭시 기어로 스마트 라이프를 꿈꾸며 http://dtalker.tistory.com/3059 저는 갤럭시 노트3를 빠른 업무 대응을 위.. 더보기
[HP Split X2 리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office 업무를 어느 곳에서나 [HP Split X2 리뷰]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office 업무를 어느 곳에서나 이전 글에서 작성한 ‘[HP Split X2 리뷰] HP Split X2로 노트북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에 이어서 오늘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업무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법정 근무시간 이외의 시간에도 근무를 해야 하는 열악한 근무환경을 가지고 있는데요. 저 역시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야근을 하거나 퇴근 후 회사 이외의 공간에서 업무를 해야 하는 상황에 당면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그 때문에 블로그를 자주 못하는 것도 한 몫 하죠. 야근 A by kwanwoo 회사 분위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퇴근 시간 이후 야근을 하는 것은 업무 능력이 떨어져서 .. 더보기
[HP Split X2 리뷰] HP Split X2로 노트북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HP Split X2 리뷰] HP Split X2로 노트북과 사용자 경험을 동시에 지난 번에 작성한 [HP Split X2] 출시 예정인 태블릿 겸용 노트북 HP Split X2 디자인 및 스펙 리뷰에 이어 오늘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HP Split X2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PC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고 태블릿 PC 시장이 무섭게 성장함에 따라서 PC 제조사들의 고민들은 점차 늘어만 가고 있는데요. 실속형 사용자들이 대부분의 PC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만큼 적절한 제품 출시로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조사들은 시장의 니즈(Needs)를 충분히 조사해 자사의 신규 라인업에 반영하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제조사들에게 선호하는 .. 더보기
[갤럭시S4 LTE-A] SKT 광대역 LTE 서비스를 통해 LTE-A/LTE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갤럭시S4 LTE-A] SKT 광대역 LTE 서비스를 통해 LTE-A/LTE서비스를 더욱 빠르게… SK텔레콤이 지난 10일부터 서울 10개구 11개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광대역 LTE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는데요. 이 소식을 듣자마자 지난 번에 속도 측정을 진행했던 지역이 일부 포함되면서 다시 측정하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편집자주] 지난 7월 29일 작성한 [LTE vs LTE-A] 갤럭시S4 LTE-A LTE보다 얼마나 빠를까? - 자동차편-(http://dtalker.tistory.com/3041)을 통해 광대역 LTE서비스가 지원되는 홍대, 신촌, 이대입구의 SKT LTE 속도측정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당시 차로 이동하면서 측정했지만 이번에는 뚜벅이(보행) 모드로 보다 현실감 있는 속도측정.. 더보기
[SKT LTE-A] 대전 -> 동서울 LTE-A 속도 측정(사용단말 갤럭시S4 LTE-A) [SKT LTE-A] 대전 -> 동서울 LTE-A 속도 측정(사용단말 갤럭시S4 LTE-A) 집안 일로 인해 갑작스럽게 대전으로 내려가게 되었는데요. 서울로 올라오기 위해 대전 복합 터미널에서 기다리던 도중 대전->동서울행 고속버스에서 SKT LTE-A 속도측정을 하면 어떤 결과를 보여줄 지 궁금해 이동하는 도중 측정을 해봤습니다. |대전 복합 터미널 -> 동서울 터미널 저도 자가용이 있긴 하지만 피곤 할 때에는 종종 고속버스나 기차를 이용하는 것처럼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이 고향이나 서울로 이동하기 위해 비행기, 기차, 버스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곤 합니다. 그 중에서도 고속버스는 저렴한 가격으로 기차가 가지 못하는 곳까지 이동해 빼놓을 수 없는 교통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로 사람들이 .. 더보기
전국 SKT LTE-A 망 구축 대전지역 LTE-A 서비스 속도는 어떨까? 전국 SKT LTE-A 망 구축 대전지역 LTE-A 서비스 속도는 어떨까? 8월 2일 대전지역에 살고 있는 동생을 보기 위해 대전으로 향했는데요. 때마침 SK텔레콤이 지난 7월 30일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LTE-A 서비스 가능 지역을 전국 주요 84개시로 확대한다고 발표한 상황이라 대전지역에 LTE-A 서비스를 이용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어 내려간 김에 대전지역 LTE-A 서비스 속도를 측정하고자 마음을 먹었습니다. 대전에 도착하고 나서 동생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고, 8월 3일 점심을 먹고,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LTE-A 서비스 속도측정을 실시하였습니다. 보다 객관적인 LTE-A 속도 측정을 위해 유동인구가 많은 번화가 위주로 선정해 다음과 같은 지역을 방문하였습니다. 대전 시청 인근 보라매 공원(서구.. 더보기
[LTE vs LTE-A] 갤럭시S4 LTE-A LTE보다 얼마나 빠를까? - 자동차편- [LTE vs LTE-A] 갤럭시S4 LTE-A LTE보다 얼마나 빠를까? - 자동차편- LTE(Long Term Evolution)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상용화된 지 2년이 지났는데요. 아직까지 많은 사용자들이 3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3G 무제한 요금제와 LTE 요금제를 함께 사용하며, 각각의 서비스게 제공하는 장단점을 몸소 체험하고 있는데요.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SK텔레콤 LTE-A 특공대에 선발되면서,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네트워크 서비스를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습니다. 현재 LTE-A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사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있는데요. 기술적으로 LTE 네트워크 상용망에서 최대 54Mbps의 속도를.. 더보기
언론사와 네이버에 악영향을 끼친 네이버 뉴스스탠드 언론사와 네이버에 악영향을 끼친 네이버 뉴스스탠드 선정적인 제목을 내걸고 치열한 트래픽 경쟁을 펼친 언론사들은 새롭게 시행된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맞았다. 포털사이트 네이버는 이미 예고한 대로 시범 서비스로 선보인 바 있는 새로운 뉴스 구독서비스인 뉴스스탠드를 지난 1일 정식 오픈 했다. 그런데 뚜껑을 열고 보니 독자들은 뉴스 콘텐츠를 보기 더욱 불편해졌으며, 언론사들은 트래픽이 크게 감소했다. 과연 어찌된 일일까. 선정성을 배제하기 위한 네이버 뉴스스탠드 네이버는 다양한 온라인 매체들이 트래픽을 확보하고자 연예 및 가십성 기사 중심으로 뉴스캐스트 메인을 도배하기 시작하자 오랜 고뇌 끝에 네이버 뉴스스탠드를 내세웠다. 여기서 서비스의 핵심은 독자에게 현명한 콘텐츠 소비가 가능하도록 신뢰도가 높은 언론사 페.. 더보기
구글 리더 서비스 종료 무엇을 의미하나 구글 리더 서비스 종료 무엇을 의미하나 구글은 새로운 서비스에 집중하기 위해 RSS 리더 서비스인 구글 리더(Google Reader)를 비롯해 빌딩 메이커(Building Maker), 클라우드 커넥트(Cloud Connect), GUI 빌더, CalDAV API, 스냅시드(Snapseed) 데스크탑 버전 등 연내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전했다. 필자도 구글 리더(Google Reader) 서비스를 통해 해외 정보를 빠르게 수집할 수 있었고, 남들보다 빠르게 수집된 정보를 가공해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었다. 이 때문에 구글 리더(Google Reader) 서비스를 자주 이용할 수 밖에 없었고,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위의 추천 버튼을 누르면 더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런 구글 .. 더보기
원하는 정보, 맞춤형 큐레이션 SNS FANme(팬미)로 골라보자 원하는 정보, 맞춤형 큐레이션 SNS FANme(팬미)로 골라보자 SN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은 가운데 다양한 소셜 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는데요. 차별화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SNS 어플이 등장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바로 FANme(팬미)인데요. 기존 SNS 서비스가 인맥 중심의 서비스라면, FANme(팬미)는 패션 또는 브랜드와 같은 취향기반 큐레이션 서비스(Curation Service)입니다. 갑자기 큐레이션 서비스(Curation Service)라고 하니 어렵게 느껴지시죠? 큐레이션이란, 관심 콘텐츠를 수집, 정리, 편집해서 정보의 가치를 높이는 것을 지칭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거나 유용한 서비스를 수집해서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이제 어떤 서비스인지 대충 감이 .. 더보기